본문 바로가기

Information

상강 뜻 음식

반응형

 

오늘은 바로 24절기 중 18번째로서 한로(寒露)와 입동(立冬) 사이에 위치한 가을의 마지막 절기인 상강(霜降)인데요~

상강이란 무엇이며 먹어야할 음식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볼께요!

음력으로는 9월18일  양력으로는 10월 23일 이구요~ 황경(黃經)은 약 210˚ 입니다!

된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이 무렵에는 농촌의 가을걷이가 한창으로 수확의 계절이죠~

아침이면 온 땅이 서리로 뒤덮여 아침 햇살을 받아 온통 하얗게 반짝거리는데요~ 이 시기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구요~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립니다~ 옛 중국에서는 상강을 5일씩 3후(三候)로 나누어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, 초목이 누렇게 변하며, 동면(冬眠)하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는데요!

상강에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고 국화도 활짝 핀답니다!

들녘에는 코스모스가 만개했죠?

이 무렵이 되면 농촌의 들에서는 가을걷이로 분주해지구요~ 벼를 베고 타작을 하는 시기인데요~ 벼를 베어낸 논에는 다시 이모작용 가을보리를 파종하기도 해요~ 누렇게 익은 종자용 호박을 따구요~ 밤과 감과 같은 과실을 거두어들이고~ 조나 수수 등을 수확합니다~ 서리가 내리기 전에 마지막 고추와 깻잎을 따고 다시 고구마와 땅콩을 캐는 시기이죠!

봄에 씨를 뿌리고 여름에 정성들여 가꾼 것을 이 때에 비로소 거두어들이는 것으로 그야말로 수확의 계절~ 한 해의 농사를 마무리하는 때가 바로 상강 무렵이라고 보시면 되요!

상강 음식

이 무렵의 제철음식으로는 국화전을 꼽을 수 있는데요~ 기름을 두른 번철에 여러 색의 국화꽃을 얹은 쌀이나 밀가루 등 각종 반죽을 놓고 지져 먹는답니다~ 그 밖에 국화주를 빚어 마시기도 하고 화채를 비롯한 각종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해요!

옛 조상들은 상강 날에 국화주와 국화전 외에도 홍시, 화채, 추어탕 등을 먹으며 몸의 따뜻한 기운을 보강했다구 전해지구요~ 늦가을이 제철인 국화는 향긋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술과 전의 재료로 이용했는데요~ 국화는 두통을 완화시켜주고 눈이 침침할 때 눈을 밝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요~ 그리고 홍시는 숙취를 풀어주고 소화를 돕구요~추어탕은 양기를 돋우는 데 좋아 농민들의 보신 음식으로 자주 활용된답니다!

배, 유자, 석류, 잣 등 제철 과일을 꿀물에 탄 화채도 상강의 먹을거리 중 하나라는고 참고하세요!

이 시기에는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져 일교차가 커지므로 감기에 유의해야 합니다~ 또 추수가 마무리되기 때문에 겨울맞이를 시작해야 하죠~

우리도 상강에 산에 올라 단풍과 가을꽃을 감상하며 단풍놀이를 즐겨 볼까요?
한편 다음 절기는 입동(立冬)으로 올해는 양력 11월 7일입니다~ 주말 잘보내세요^^*

반응형
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잘못된 샤워습관 올바른 샤워방법  (0) 2021.11.07
불면증 치료방법  (0) 2021.11.06
가스라이팅 자가진단  (0) 2021.11.05
걷기운동 방법 효과  (0) 2021.11.04
비듬 제거 방법  (0) 2021.10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