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nformation

대설이란?

반응형

12월 7일 내일이면 대설(大雪) 인데요~

대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?

대설은 24절기의 하나로 소설(小雪)과 동지(冬至)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요~

24절기 중 21번째 절기로 음력으로는 11월에 들어서니 본격적인 겨울철이 시작되는 때라고 보시면 되요~ 눈이 많이 내린다는 절기이지만,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12월이 되어야 기온도 최하로 내려가고, 깊은 겨울에 들어서야 눈도 많이 내리는데요~

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입동 이후, 소설·대설·동지·소한·대한까지를 겨울이라 보지만, 서양에서는 추분 이후 대설까지를 가을이라고 본답니다~ 이 시기는 한겨울에 해당구요~ 농사일이 한가한 시기이고 가을 동안 수확한 피땀 어린 곡식들이 곳간에 가득 쌓여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끼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풍성한 시기이죠~ 한편 이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에 풍년이 들고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는 믿음이 전해지지만 실제로 이날 눈이 많이 오는 경우는 드물답니다!

눈과 관련하여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~ 이 말은 눈이 많이 내리면 눈이 보리를 덮어 보온 역할을 하므로 동해(凍害)를 적게 입어 보리 풍년이 든다는 의미랍니다!

한편 옛날부터 우리나라가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었죠~ 그래서 24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요~ 하지만 음력을 쓰는 농경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절기가 만들어졌지만 이는 태양의 운동과 일치한답니다~ 실제로 달력을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~8일 사이와 19~23일 사이에 생겨요~ 입춘(立春)에서 곡우(穀雨) 사이를 봄, 입하(立夏)에서 대서(大暑) 사이를 여름, 입추(立秋)에서 상강(霜降) 사이를 가을, 입동(立冬)에서 대한(大寒)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았구요~

서양에는 7일을 주기로 생활했으나 중국과 우리나라는 24절기를 이용해서 15일을 주기로 생활하였다고 보면 되는데요~ 실제도 음력에 따르는 것이 농경 사회에 적합했답니다~ 왜냐하면 해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달을 기준으로 하면 어김없이 15일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이에요!

대설이 되면 낮의 길이는 가장 짧아지구요~ 동지가 될 때까지 밤의 길이가 점점 길어진답니다~ 그러니 과거 농경시대 같으면 추수와 김장 등 월동준비를 마친 후의 농한기에 들어설 때이죠~ 땀 흘려 한 해 지은 노력의 결실로 곳간 가득 쌓인 곡식이 넉넉한 인심도 함께 쌓이는 좋은 절기랍니다~ 기온이 점 점 내려가니 난방 준비, 동파 방지 등 등 본격적인 겨울 채비를 하는 때라고 보시면 되요!

가을걷이를 마친 논과 밭에는 다음 해 6월, 옛날 배 주린 고통의 보릿고개를 넘겨줄 보리 싹들이 차지하고 있어 한겨울의 희망을 펼쳐줄 때이기도 한데요~ 그래서 농경시대에는 대설에 눈이 내려 보리밭을 덮어주면 동해(凍害)를 막아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고 했어요~

그리고 일손을 놓지 않고 콩으로 메주를 쑤기도 해 겨우내 구수한 메주 향을 풍겼는데요~
일 년 내내 먹을 수 있는 식량일 뿐 아니라 메주를 잘 만들어야 고추장, 된장 등을 맛있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정성 들였답니다!

대설 음식으로는 귤과 곶감을 즐겼는데요~ 귤과 곶감은 비타민 C가 풍부해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구요~ 귤껍질을 말려서 우리거나 끓여 차를 마시는 방법도 있어요~ 가을에 딴 감이 딱 먹기 좋게 말라가는 시기라 곶감을 간식으로 즐겨 찾았구요~ 옛날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죠?

팥죽은 동지에 즐기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설 때도 먹었던 것으로 알려져있어요~ 팥죽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구요~ 또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가 있답니다!

이제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등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이어진다니까 옷차림 든든히 하시고, 건강관리에도 꼭 신경 써주세요~ 그 어느 때보다 심신이 고단한 세태에 맞는 대설(大雪) 절기에, 추운 겨울 얼어붙은 우리 이웃의 마음을 따스한 말 한마디라도 건넵시다~^^*

반응형
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겨울 산행 준비물 주의사항  (0) 2021.12.15
숙취 해소법  (0) 2021.12.08
급 다이어트 방법  (1) 2021.12.01
껌 효능  (0) 2021.11.23
장례식장 복장 인사말  (0) 2021.11.22